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Tags 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오늘은 무슨일이 생길라나

📦 한국이 중국에 의존하는 부품 7가지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📦 한국이 중국에 의존하는 부품 7가지

메알 2025. 7. 14. 10:00

 

하연생각:요소수사태가 일어났을때가 생각이 난다. 내가 다루기에는 너무 무거운 주제이지만 왜 이렇게까지 이슈가 되는지 궁금해서 시작된 글쓰기들이 점점 파고파고가 되어가고 있다. 내머리속에 지우개가 있는 것이 확실하지만 지워지지않는 펜을 만들려고 

노력중인다. 내용을 정리하다보니 25%는 꿈의 프로테이지이다.아니지 무서운 숫자놀음인거같다.

와 이렇게 많은 부분을 의지하고 있다니

 

25% 관세가 진짜 무서운 이유는, 단순한 세금 문제가 아니라 '핵심 부품이 중국에 묶여 있다'는 데 있습니다.

🔍 주요 부품별 중국 의존도 정리

부품/소재 중국 의존도 사용 산업
🔋 배터리 양극재 91.8% 전기차, ESS
🔋 배터리 음극재 (흑연 등) 89.4% 전기차, 스마트폰
🧪 이차전지 전해질 71.2% 배터리 생산 공정
🪨 리튬, 코발트, 니켈 60~70% 배터리 소재 (가공 기준)
☀ 태양광 웨이퍼 90% 이상 태양광 패널
⚙ 희토류 80% 이상 모터, 반도체, 전자기기
📱 디스플레이 부품 50~60% 스마트폰, TV, IT기기

❗ 왜 이게 문제인가요?

  • 📈 이 부품들에 25% 관세가 붙는 순간, 원가 상승 → 수익성 급락
  • 📉 미국 수출용 완성품의 FTA 무효 가능성
  • 🚫 대체 공급처🇨🇳 한국이 중국에 이렇게까지 의존하는 이유는?
    • ✔ 중국산 부품이 없으면 조립 자체가 불가능한 구조
    • ✔ 현지 합작공장과 조달계약으로 묶인 기업들
    • ✔ 대체 가능한 나라가 마땅히 없는 현실
    즉, 중국 의존은 ‘편한 선택’이 아니라, 이미 구조화된 의존이라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일 수 있습니다.
  • 배터리, 희토류, 반도체 화학소재 등 많은 부품이 중국에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는 상황.
  • 하지만 공급망 위기와 고율 관세를 겪으면서, 이제는 '탈중국 전략'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.
    • 베트남, 인도, 인도네시아 등으로 제조라인 분산
    • 미국·유럽에 현지 생산기지 확장
    • 중국 외 리튬·니켈 생산국 (호주, 칠레 등)과 직접 계약 확대
    ✅ 2. 정부의 전략적 지원
    • 📘 핵심 광물 확보 전략 발표 (2023)
    • 📈 희소금속·소재 국산화 R&D 투자
    • 🇺🇸 IRA·CHIPS법 대응 위한 한미공조 확대
    ✅ 3. 원산지 조건 맞춤 전략
    • FTA 무관세 혜택을 유지하려면 → ‘중국산 제외’ 조달체계 필수
    • 배터리·전자제품 원산지 구조 재설계 중
    ✅ 4. 기업별 대안 사례
    기업 대응 전략
    LG에너지솔루션 미국 미시간주·애리조나에 자체 셀 공장 설립
    삼성SDI 헝가리·인도네시아에 배터리 소재 조달처 분산
    POSCO퓨처엠 호주 리튬광산 투자 + 양극재 원료 독립 시도

    🧭 결론📌 “공급망은 곧 안보”라는 말처럼, 한국 기업과 정부 모두 중국 없는 생태계 만들기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
    📘 출처: 산업통상자원부, KOTRA, 무역협회, 각 기업 보도자료 (2024~2025)
  •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선 '싸고 빠른 수입'이 아니라, '안정성과 전략적 자율성'이 더 중요한 시대입니다.
  • ✅ 1. 공급망 다변화 (탈중국+우회전략)
  • 🔄 한국, 중국 의존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
  • 중국이 단순히 값싼 수입처여서가 아니라, 글로벌 제조와 공급망의 중심으로 자리잡았기 때문입니다.